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독서
- #미국환율
- 도서리뷰
- #애플주가
- #도서리뷰
- #메타주가
- 책
- 부자
- 책추천
- #반도체관련주
- 일상
- #금리
- #테슬라주가
- #미국주식
- #책추천
- #Snp500
- #인공지능
- 독서모임
- #엔비디아주가
- 도서
- #엔비디아실적발표
- 컨티뉴언
- #미국증시
- #엔비디아
- 책리뷰
- #엔비디아관련주
- 공부
- 돈
- #엔비디아주식
- #ai관련주
- Today
- Total
목록독서 (29)
기록하는 투자자

오늘 볼 책은 굉장히 좋으면서도 위험한 책입니다. 바로 보시죠. 책 제목부터 2030 미래 성장 가치주 발굴 기법, 입니다. 가치주를 발굴하기위한 엄청난 작업을 한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상당합니다. 계속해서 패턴을 볼 수 있고 어떻게 투자 공부를 할 수 있는지 상세히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보기 시작하면 언제 투자를 하고 무엇을 투자를 할지에 대해서 공부에 대해 작성되있습니다. 문제는 뭐냐? 이 책은 초보를 위한 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투자관련 용어도 엄청나게 많이 나올뿐더러 재미는 있지만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책입니다. 책을 통해 우리는 많은 지식을 얻지만 그 지식을 절대적으로 받아들이면 안됩니다. 이 책은 상세한 방법들,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들이 나와있습니다. 그리..

자 오늘 주제 들어가보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도서관입니다. 오랜만에 도서관을 다녀왔습니다. 제가 다녀온 도서관은 성동도서관입니다. https://www.sdlib.or.kr/SD/main.do 성동구립도서관 www.sdlib.or.kr 왕십리 근처에 있는 도서관인데 성동구에 있는 도서관이라 그런지 서울에서 꽤나 규모가 있는 도서관입니다. 물론 정독도서관이 최고라고 생각하지만 일단 약간 먼 것도 있고 도서관 시설이 너무 오래된 것도 있습니다. 도서관에 있는 책은 코로나 때문에 대부분 빌려보지 못 했습니다. 사실 도서관이 오랫동안 닫았던 것도 있고 그로 인해 도서관에 발길을 끊었습니다. 그리고 요즘들어 책을 읽을때 있어서 시간이 부족한 측면도 있고 저에게 적합한 책을 보기 위해 책을 골라보는 습관이 생겼습..

오늘 살펴 볼 책은 "개미가 알려주는 가장 쉬운 미분 수업 미분부터 이해하면 수학공부가 즐거워진다" 입니다. 많은 분들이 수학에 대해 감을 잃어 버린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과연 수학이 어디까지 필요한가에 대해서 잊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 블록체인에 대한 얘기, 주식분석 등 돈관련얘기가 화두되면서 우리는 사회적인 관심이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젊은 사람들도 사회에 관심이 더 많아지기시작했습니다. 여기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서 우리가 생각해볼만한 것은 수학입니다. 특히 미분이라는 수학개념입니다. 이 책을 통해 미분얘기를 한 번 들어볼까 합니다. 우리는 미분개념을 실생활에서 많이 쓰고 있을까요? 사실 수학은 이미 너무나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분으로 넘어가면 사람들은 ..

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을 들고 왔습니다. 오늘 볼 책은 '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네트워크 경제 입문자를 위한 가장 친절한 안내서' 입니다. 본론으로 바로 넘어가자면 이 책은 경제트랜드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흔히들 구글과 같은 회사를 칭하면서 플랫폼 기업, 카카오, 페이스북, 우버 등 다양한 플랫폼 기업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플랫폼기업에 우리는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은 플랫폼 기업에 소속되어있지않고 열심히 활용만 하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돈을 갖다 바치고 있는 것입니다. 간접적으로는 플랫폼 기업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주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플랫폼 기업이 하..

우리는 살면서 말이라는 것을 처음 듣게 됩니다. 그렇게 누군가의 목소리를 듣게 되고 사람마다 특유의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사람에 익숙해지고 친한 사람들이 생기게 됩니다. 한편 목소리를 통해 얘기를 하다보니 중요한 얘기에 따라 우리는 잊거나 기억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더 잘 기억하기 위해서 글이라는 것을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글을 쓰게 된 기원 자체는 명확하지 않지만 저 같은 경우 글을 활용하는 경우가 명확성과 기억을 위함이라 생각합니다. 말은 강조를 하고 감정을 담을 수 있지만 금방 날라갈 수 있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글은 강조를 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오랜 기간동안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